2022년 6월 포럼M 주제는 [캐릭터리즘, 캐릭터가 브랜드를 이끈다] 입니다.
핑크퐁, 유니드캐릭터, 펄스나인의 인플루언서가 인사이트를 전해 드립니다.
2022년 5월 포럼M 주제는 [ALL ABOUT X, 경험에 대한 모든 것] 입니다.
어도비, 플렉스, 채널코퍼레이션의 인플루언서가 인사이트를 전해 드립니다.
포럼M
클래스
맞춤형 프로그램
포럼M 브릭스
트렌드 인사이트
[인사이트] 희소성의 유형과 마케팅 방법
공지사항
(사)한국능률협회
대표이사 : 최권석
개인정보책임관리자 : 박경만
사업자등록번호 : 105-82-01810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0-서울영등포-0460호
직업정보제공사업신고필증 : 서울남부 제2011-59호
사업장 : 서울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22 이룸센터 9F~ 10F
고객지원
문의 : 02-3274-9261
결제/환불/계산서 문의 : help-m@kma.or.kr
기타문의 : help-m@kma.or.kr
-
주중 10시~19시 (점심시간 12~13시 / 주말 및 공휴일 제외)
부족함을 추구하는 사례에서 제품과 서비스의 희소성을 유지시키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그리고 이에 적합한 마케팅 방식 또한 존재한다. 그렇다면 희소성에 대한 유형은 무엇이 있고 어떻게 접근하면 좋을까?
1. 공급 부족
공급 감소 또는 수요 증가로 인해 상품이 부족해지는 경우
→ 한정생산 판매 (Limited Edition) (EX. 포켓몬빵)

2. 소유 제한
상품의 소유를 제한하는 경우
→ 판매수량, 판매기한 제한, 구입 수량 제한 (EX. 샤넬 오픈런)
3. 비용 발생
돈, 시간, 노력 등의 비용 발생으로 인해 상품 구매가 어려워지는 경우
→ 고가격 책정, 특정 기간, 장소에서만 판매 (EX. 원소주)

4. 공급 연기
상품의 공급을 연기하는 경우
→ 상품 출시 또는 재입고 연기 (EX. 테슬라)
희소성을 유지시키는 방법을 고려하여 적합한 커뮤니케이션/마케팅 방식을 적용한다면 고객의 관심도는 더욱 높아질 것이다.
QUESTION)
1. 희소성이 높은 제품/서비스를 경험한 적이 있나요?
2. 제품/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에서는 어떤 방식을 취하고 있나요?
3. 희소성을 유지시키기 위한 다른 방법이 있을까요?
4. 소비자가 희소성에 열광하는 이유는 무엇이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