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6월 포럼M 주제는 [캐릭터리즘, 캐릭터가 브랜드를 이끈다] 입니다.
핑크퐁, 유니드캐릭터, 펄스나인의 인플루언서가 인사이트를 전해 드립니다.
2022년 5월 포럼M 주제는 [ALL ABOUT X, 경험에 대한 모든 것] 입니다.
어도비, 플렉스, 채널코퍼레이션의 인플루언서가 인사이트를 전해 드립니다.
포럼M
클래스
맞춤형 프로그램
포럼M 브릭스
트렌드 인사이트
[인사이트] 부족사회 현상과 헝거 마케팅 (Hunger Marketing)
공지사항
(사)한국능률협회
대표이사 : 최권석
개인정보책임관리자 : 박경만
사업자등록번호 : 105-82-01810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0-서울영등포-0460호
직업정보제공사업신고필증 : 서울남부 제2011-59호
사업장 : 서울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22 이룸센터 9F~ 10F
고객지원
문의 : 02-3274-9261
결제/환불/계산서 문의 : help-m@kma.or.kr
기타문의 : help-m@kma.or.kr
-
주중 10시~19시 (점심시간 12~13시 / 주말 및 공휴일 제외)
헝거 마케팅(Hunger 마케팅)은 한정된 물량만 판매하여 소비자의 구매욕구를 높이거나 자극시키는 마케팅 기법이다. 한정된 물량만 한정된 곳에서 판매하는 마케팅으로 의식적으로 잠재 고객을 배고픔(hungry)의 상태로 만들어 구매욕구를 일으키게 하는 마케팅 전술, 시장에서 수요보다 적은 공급을 제공하여 언제나 상품 부족 상태 유지한다. 상품의 희소성을 의식적으로 높여 소비자의 수요 욕구를 증대시키는 수요 심리를 이용하는 시장조절 방식을 채택하기도 한다. 이러한 헝거마케팅의 현상은 크게 2가지 방향으로 이어진다.
1. 긍정적 측면
ㆍ희소가치를 내세워 소비자 구매욕 자극
ㆍ생산 물량을 제한함으로써 재고관리에 효율적
ㆍ신제품 출시 전 시장반응 확인 위한 테스트 베드 활용
ㆍ브랜드 인지도 제고
2. 부정적 측면
ㆍ소비자가 즉각 제품을 구매할 수 없어, 시기를 놓치게 되면 불편함이나 제품, 브랜드에 대한 불만으로 이어질 수 있음
ㆍ기존 제품과 차별하지 않으면 구매 가치가 떨어짐
ㆍ한정판이 쏟아져 나오면 한정판 자체가 식상해짐
헝거 마케팅은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니즈를 이어갈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하여 마케팅 플랜이 세워져야만 한정판 마케팅 이후의 재고나 제품에 대한 인식의 가치를 긍정적으로 유지시켜 나갈 수 있다.
QUESTION)
1. 최근 한정판 마케팅으로 이슈가 된 사례가 있나요?
2. 사회적인 관심도가 떨어지게 되면 식상해지는 마케팅 사례가 있나요?
3. 지속적으로 소비자의 관심을 이끌어 내기 위한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
4. 헝거 마케팅을 현업에 적용해 볼 수 있는 이슈가 있을까요?